본문 바로가기
속닥속닥 생활정보

국내 2024년 1월 1일 서울 일출 시간 및 명소 안내

by 쉿쉿풋풋 2023. 12. 31.

2024년 1월 1일 서울 일출 시간 안내 및 명소 안내

· 서울 일출 시간 안내

☀️ 서울 일출 시간 : 07시 41분

 

· 서울 일출 명소 안내

☀️ 지양산

· 서울특별시 양천구 신월동

출처 : 대한민국 구석구석

- 지양산은 모든 주민들이 편리하게 산을 산책하며 숲을 이용할 수 있다. 무장애숲길과 등산로를 자연 친화적으로 조성하였다. (휠체어 순환 구간 570m, 휠체어 회차 구간 210m) 또한 신정산, 용왕산과 같이 도심 속 아이들이 숲속에서 마음껏 뛰어놀며 몸과 마음이 건강하게 성장할 수 있는 유아숲체험원이 있다. 인디언 집, 낙엽 풀장, 하늘 보기 해먹 등 유아숲체험원에서 감수성, 상상력을 키울수 있다.

☀️ 배봉산

·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전농동

출처 : 대한민국 구석구석

- 배봉산은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전농동, 휘경동에 있는 해발 108m의 나지막한 산이다. 배봉산에 조성된 배봉산근린공원은 산지형 공원으로 비탈졌으나 무장애 둘레길이 있어 수월하게 오를 수 있다. 보행로 또한 걷기에 최적화된 길로서 완만한 오르막과 내리막으로 되어있고 중간에 벤치들이 적절하게 배치되어 있어 쉬어가기 좋다. 보행 데크가 잘 정비되어 있어 보행 약자에게도 좋은 산책길이자 운동길이다.

☀️ 몽촌토성 망월봉

· 서울특별시 송파구 올림픽로 424

출처 : 대한민국 구석구석

- 올림픽공원 내 자리해 있는 몽촌토성은 백제의 토성으로 한강 지류를 끼고 있는 이곳의 자연 지형을 이용, 진흙을 다져 쌓아 성벽을 만들었다. 특히 북벽의 단을 이룬 곳에서 목책을 세웠던 흔적이 발견되어 나무울타리로 방비했음을 알 수가 있다. 올림픽공원 내에 있는 ‘몽촌토성’은 백제가 고대국가의 터전을 마련한 한성시대, 즉 3~4세기 때 만들어진 거성의 하나이다. 하남 위례성으로 추정된다. 사적으로 지정되어 있다. 남한산성에서 뻗어 내린 구릉지를 이용하여 외성과 내성으로 중첩된 구조로 지어진 성이다. 성 안에는 몽촌토성에서 발굴된 백제유물(세발토기, 긴 목 항아리, 계란모양 항아리, 원통형 그릇받침 등 생활용구)이 보존 전시되어 있으며, 움집터와 저장구덩이 등을 발굴 당시 모습 그대로 전시되어 있다.



☀️ 서대문안산

·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봉원동

출처 : 대한민국 구석구석

- 서대문에 있는 안산은 서울타워가 있는 남산이 바라보이는 전망이 뛰어난 295.3m의 작은 산으로 무악산이라고도 부른다. 안산에는 안산자락길과 북카페, 정자와 테이블, 전망지, 메타세콰이어숲, 숲속무대, 능안정, 정상에는 봉수대가 있다. 안산자락길은 7km 구간의 걷기 좋은 순환형 무장애숲길이다. 안산에는 책을 볼 수 있는 북카페, 인왕산과 북한산이 한눈에 보이는 전망지가 있다. 전망지를 지나 천천히 걸으면 메타세쿼이아 숲이 여행자를 반기며 조금만 더 걸어가면 능안정에 이른다. 정상으로 가는 길은 데크길이 아니라 일반 등산로로 봉수대가 나온다.

☀️ 불암산

· 서울특별시 노원구 덕릉로130가길 22

출처 : 대한민국 구석구석

- 서울시 노원구 상계동, 중계동과 남양주시 별내면의 경계에 솟은, 높이 508m의 나지막한 바위산이다. 1977년 도시자연공원으로 지정됐다. 산의 모습이 송낙을 쓴 부처의 모습과 같다 해서 불암산이라는 이름이 지어졌고 일명 천보산, 필암산이라고도 한다. 능선이 길게 뻗어 있어 시원한 경치를 맛볼 수 있고 산길도 험하지 않아 가볍게 오를 수 있는 곳이다. 특히, 야간에 정상에 올라보면 멋진 서울시의 야경을 감상하게 된다. 불암산 제2봉인 해발 420m의 봉우리에는 불암산 성지가 있다. 이 산성지는 대동여지도에도 산성지라고 표기되어 있으며 규모는 약 3백보 정도이다. 곳곳에 있는 바위 절벽들은 암벽 타기 연습장으로 활용되고 있다. 등산로와 약수터가 10여 개나 된다. 불암폭포는 겨울철이면 빙벽 타기 애호가들이 즐겨 찾는다.

☀️ 인왕산

· 서울특별시 종로구 인왕산로1길 29

출처 : 대한민국 구석구석

- 인왕산은 서울 종로구와 서대문구 홍제동 경계에 있는 산이다. 산 전체가 화강암으로 구성되어 있고 기묘한 형상의 바위들이 많아 다양한 이름이 붙었다. 스님이 장삼을 입고 서 있는 것처럼 보이는 선바위와 모자를 닮은 모자바위, 돼지를 닮은 돼지바위 등이 있으며 인왕산 정상에는 삿갓 모양의 삿갓바위가 있다. 경치가 아름다워 이를 배경으로 한 산수화가 많은데, 특히 겸재 정선의 [인왕제색도]와 강희언의 [인왕산도]가 널리 알려져 있다. 정상에 오르면 경복궁을 중심으로 인왕산과 함께 조선시대 한양을 둘러싸고 있던 내사산인 낙산, 남산, 백악산이 펼쳐진다. 정상 아래편에 겸재의 인왕제색도에 나오는 매바위와 치마바위가 장관을 이룬다